명의란 표현은 병을 매우 잘 고치는 의사라는 말입니다. 명의에게는 환자들이 서로 가서 고침을 받으려고 합니다. 요즈음의 의사들 중에는 일반의가 있고, 전문의란 말이 있습니다. 의사들 중에서는 특별한 부분만을 연구하여서 그 부분에 관해서 특별히 치료하는 의사입니다. 그런 의사일지라도 자기들이 공부하고, 시술하여서 성공한 경험 안에서 전문입니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예수님을 보니 열병으로 앓고 있는 베드로의 장모님도 손 한 번 잡아서 일으켜 주시니 나게 하십니다. 그 분은 확실히 나아서 예수님의 일행에게 음식을 많들어서 제공하여 드렸습니다. 예수님께서 베드로의 집을 떠나서 다른 곳에 가 계시니 사람들이 많이 몰려왔습니다. 그 중에는 병고침을 받을 사람이 많았고, 또 그것을 보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신기한 것은 예수님께서는 전문의도 아니시면서 전염병도 고쳐주셨고, 마비가 된 사람도 고쳐 주셨습니다. 그리고 피부병에 걸린 사람도 고쳐 주셨습니다. 더 나아가서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도 고쳐주셨고, 귀신에 들린 사람도 쫓아내 주셔서 건강을 회복시켜 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걷지 못하는 장애인도 고쳐서 걷게 하여 주셨고, 스트록으로 팔 다리를 쓰지 못하는 사람도 고쳐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전문의의 일까요? 아니면 일반의 이실까요? 예수님께서는 분명히 사람들 전반을 모두 고쳐 주시는 의사임에는 틀림이 없으십니다. 의학 공부를 하지 않으셨는데 어떻게 그렇게 하시리 수 있을까요? 실력이 있어서 그렇게 하실까요? 성경에서 알려 주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예수님께서는 하나님과 함께 사람을 창조하신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자동차를 만든 사람이 자동차를 고쳐서 좋은 차가 되게 하시듯이 예수님도 사람을 만드신 분이시기 때문에 병든 사람, 더 나아가서 귀신들린 사람에게서 귀신을 쫓아내 주십니다. 귀신들린 사람을 차에서 비유하면 필요없는 것을 닦아내는 것과 같지 않을까요? 예수님께서 사람의 병을 확실하게 고쳐주시는 또 다른 이유를 본문에서는 그가 몸소 우리의 병약함을 떠맡시고, 우리의 질병을 짊어지셨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예수님이사람의 모든 병을 떠맡아서 고쳐주실 만큼 능력이 있으십니다. 이사야 예언자를 통해서는 사람이 겪는 고통을 해결해 주시기 위하여 그가 매를 맞으셨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병으로 겪는 고통을 치유하여 주시기 위하여 우리를 대신하여 맞아주셨다고 하였습니다. 참 고맙고 대단하신 예수님이십니다. 본인의 병이 아니라 우리를 포함한 사람들의 병을 고쳐 주시기 위하여 대신 맞아주는 사람이 세상에 예수님 밖에 누가 있으십니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하냐고요? 예수님은 그것보다 더 큰 일을 행하셨습니다. 사람들이 지은 죄를 갚아 주시기 위하여 자기의 피를 흘려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피로써 죄를 완전히 갚아 주셨음을 확증하는 것으로 죽은 후에 부활까지 하셨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구원주이십니다. 이 예수님을 믿으시고, 하나님의 아들과 딸이 되셔서 하나님의 나라가 제공하는 많은 복과 은혜를 누리시길 축복합니다. 아
top of page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예수님께서는 항상 심판이 있음을 알려 주셨습니다. 학교 공부할 때 담임 선생님께서 맡은 반 학생들의 성적을 올려 주기 위하여 시험 점수를 잘 맞는 방법을 알려 주셨습니다. 학과 선생님들께서 반복하시는 내용, 강조하시는 내용은 거의 시험에 나온다고 하셨습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그것은 반드시 기억하고 있으라고 하셨던 말씀이 기억에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하신
달란트의 비유는 신앙인이라면 믿은 해 수 만큼 들은 비유이고, 설교 말씀일 것입니다. 매년 연 말이면 이 말씀은 거의 모든 목사님들께서 하시는 말씀이시니까요. 그런데 달란트의 양이 얼마나 될까요? 설교를 하시는 분들이나 듣는 분들이 큰 오해를 하는 것이 있습니다. 한 달란트는 작을 것이다. 정말 그럴까요? 다른 성경을 참고로 한다면 작은 돈이 아닙니다. 나
우리가 보통 아는 결혼 예식은 한 총각에 한 처녀이고, 유대 혼인 예식은 더더욱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께서 비유로 들어주신 혼인 예식에서 열 처녀란 들러리를 가리킵니다. 들러리라고 하지만 목적은 혼인예식에 참석해야 하는 일입니다. 누가 신부인가가 포인트가 아니라 혼인예식에 들어가야 하는 것인데 혼인 예식은 신랑이 오면서 시작이 된 답니다. 신랑이 언제 올지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