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 가지 비유의 말씀(마 13:44~58)

두 가지 면예수님께서 하늘 나라의 비유를 세 가지로 말씀해 주셨습니다. 어떤 소작 농이겠죠? 농사를 짓다가 밭에서 어떤 사람이 땅에 감추어 둔 보물 항아리를 발견했습니다. 그냥 가지면 도둑질 한 것이 들통이 모두 빼앗기고, 감옥에 갈 수 있습니다. 그것을 가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이 묻혀 있는 땅을 사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스라엘에서는 자기의 재물을 보물로 바꾸어서 항아리에 보물을 넣어서 감추어 두는 예가 흔하였다고 합니다. 대중 은행을 이용하면 외국의 압제를 받던 나라이므로 아뭇 소리를 하지 못하고, 세금으로 착취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러첨 항아리에 보물을 묻어두는 일이 흔하였다고 합니다. 그것을 묻어둔 사람이 어떤 이유인지 그것을 놓고 잊어버렸는데 소작농이 그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는 그 땅을 사기 위하여 집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팔아서 돈을 마련하는 것이 당연하고, 없으면 급전이라도 내어서 돈을 만들어서 살 것입니다. 하늘 나라는 그처럼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어 주는 것이므로 그 하나님의 나라에 모든 것을 올 인하는 것이 지혜롭다는 말씀이십니다. 저는 동의하므로 부족한 이 글을 읽는 독자께서도 그러시길 축복합니다. 또 한 비유는 진주를 구하는 상인과 같답니다. 보물을 구하러 다시던 상인이 진주를 발견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진 것을 다 팔아서 진주를 삽니다. 그것이 진짜이고, 값이 정말 나가는 것이기에 모든 것을 팔아서 사도 하나도 아깝지 않습니다. 진주를 알고 사지 않는 상인은 없습니다. 그것을 사게 되면 신세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의 비유는 어부가 그물을 거둔 후에 좋은 것은 그릇에 담고, 나쁜 것은 내버리는 것과 같다고 하셨습니다. 두 가지 면으로 모두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는 입장에서 하늘 나라는 좋기 때문에 반드시 선택하여서 자기의 것이 되게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가 아닌 것은 버립니다. 하나님의 나라 입장에서 믿음이 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게 하시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다른 곳으로 가게 하신다는 말씀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말씀이 적절한 것은 49절과 50절에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을 악한 자들이라고 하시면서 그들은 떨어진 아궁이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의 나라의 훈련ㅇ르 받은 율법학자는 자기 곳간에서 새 것과 낡은 것을 꺼내는 집주인과 같다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예수님과 하나님의 나라가 초점입니다. 그것으로 성서를 공부한 율법학자는 예수님의 말씀을 분별할 줄 알아서 잘못되고 허황된 것은 버리고 예수님을 선택할 줄 안다는 말씀이십니다. 이후로 예수님께서 기적을 베푸는 곳과 사람이 누구이신지를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 예수님을 믿는 곳이라고 하셨습니다. 예수 잘 믿고, 예수님을 통해서 오게 된 하나나님의 나라를 보시고, 그 나라에 자기의 모든 것을 투자함으로 행복하시길 축복합니다. 아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예수님께서는 항상 심판이 있음을 알려 주셨습니다. 학교 공부할 때 담임 선생님께서 맡은 반 학생들의 성적을 올려 주기 위하여 시험 점수를 잘 맞는 방법을 알려 주셨습니다. 학과 선생님들께서 반복하시는 내용, 강조하시는 내용은 거의 시험에 나온다고 하셨습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그것은 반드시 기억하고 있으라고 하셨던 말씀이 기억에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하신

달란트의 비유는 신앙인이라면 믿은 해 수 만큼 들은 비유이고, 설교 말씀일 것입니다. 매년 연 말이면 이 말씀은 거의 모든 목사님들께서 하시는 말씀이시니까요. 그런데 달란트의 양이 얼마나 될까요? 설교를 하시는 분들이나 듣는 분들이 큰 오해를 하는 것이 있습니다. 한 달란트는 작을 것이다. 정말 그럴까요? 다른 성경을 참고로 한다면 작은 돈이 아닙니다. 나

우리가 보통 아는 결혼 예식은 한 총각에 한 처녀이고, 유대 혼인 예식은 더더욱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께서 비유로 들어주신 혼인 예식에서 열 처녀란 들러리를 가리킵니다. 들러리라고 하지만 목적은 혼인예식에 참석해야 하는 일입니다. 누가 신부인가가 포인트가 아니라 혼인예식에 들어가야 하는 것인데 혼인 예식은 신랑이 오면서 시작이 된 답니다. 신랑이 언제 올지를

bottom of page